728x90
반응형
SMALL

전체 글 164

☆ 간조사)) 질병관리 >> 경구감염 = 수인성감염 (소화기계감염병)

경구 감염병 = 소화기계 감염병 = 수인성 감염병 = 감염자의 분변에 의해 (파리) ↓↓↓↓     ↓↓↓↓↓  장·파·콜·이·장·A  장티푸스 파라티푸스 콜레라 세균성이질 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 A형간염      관련된 문제 풀이    69. 소화계 질환 중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 옳은 것은? ① 장티푸스② 쓰쓰가무시병③ 콜레라④ B형 간염⑤ 성홍열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▼  ① 장티푸스 - 소화기계 / 세균 ② 쓰쓰가무시병 - 진드기유충 매개 / 리켓치아 ③ 콜레라 - 소화기계 / 세균 답: ④ B형 간염 - 소화기계 / 바이러스 ⑤ 성홍열 - 호흡기계 / 세균         72. 소화계 감염병끼리 묶인 것은? ① 세균성 이질, 결핵, 홍역② 폴리오, 결핵, 뇌염③ 콜레라, 장티푸스, 세균성 이질④..

☆ 간조사 )) 질병관리 >> 감염력, 병원력, 독력

병원체의 특성   감염력 병원력(병원성) 독력 면역력     감염력 :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하여알맞은 기관에 자리잡고 증식하는 능력 ( 감염 O, 증상 X )       병원력 (병원성)  : 병원체가 숙주에게 현성 감염을 일으키는 능력 현성감염 = 임상증상 (기침, 발열, 발진, 구토 등..) ( 감염 O, 증상 O )    독력 : 병원체가 숙주에 대해 심각한 임상증상과장애를 일으키는 능력 ( 합병증, 중증도 강화, 장애발생, 사망률 높음 )   면역력 : 병원체가 숙주에 특이 면역성을 길러주는 능력 (독감예방접종을 통해 인플루엔자에 대해 방어능력 생김)     관련된 문제풀이   79. 병원체가 감염된 숙주에게 현성 질병을 일으키는 능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? ① 병원력(병원성)② 감염력③ 독력④ 증..

“자율신경이 무너지면 몸이 보내는 7가지 신호”

자율신경계가 예민할때 나타나는 증상과 해결법 (자가진단표 포함) 요즘 이유 없이 피곤하고, 갑자기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소화가 잘 안 되는 경험 있으신가요?  이런 증상들은 '자율신경계의 불균형' 때문일 수 있습니다.   자율신경계란?  하지만 스트레스, 수면 부족, 과로 등이반복되면 이 시스템이 예민하고 불안정해지며,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 자율신경 불균형 자가진단표 ✅ 증상 항목경험 유무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불규칙한 심장박동☐ 있음 / ☐ 없음이유 없는 피로감, 무기력함☐ 있음 / ☐ 없음위장 장애(소화불량, 설사, 변비 등)☐ 있음 / ☐ 없음손발 차가움 또는 땀이 많음☐ 있음 / ☐ 없음불면, 자주 깨는 잠☐ 있음 / ☐ 없음이유 없는 불안, 공황, 우울감☐ 있음 / ☐ 없음어지럼증, 눈..

☆ 간조사)) 질병관리 >> 현성감염자, 불현성감염자, 보균자

병원소 = 저장소 >> 병원체가 머무는 장소    환자 (현성감염자)  : 명백하게 질병에 이환되어 있는 사람  보일 (현), 증상 (상)- 임상증상이 보이는 자 개인으로는 위험하나 지역사회 측면에서는 효과적 관리가 가능해요^^   무증상 감염자 (불현성감염자) : 증상에 가볍거나 약해서 인지되지 않는 환자 아니 (불), 보일 (현), 증상 (상) - 증상이 보이지않는 자 개인으로는 위험성이 적으나 지역사회 측면에서는 감염 확인이 안되기 때문에유행발생이 더 많이 될수 있어 위험해요!!   보균자 : 임상증상 없거나 건강하나 병원체를 가지고 있는자  잠복기 보균자 - 발병 전 보균자병원체가 숙주에게 증상이 아직 발생하지 않은자  회복기 보균자 - 질병 치료 후 임상증상 없으나병원체 배출하는 경우  건강 보..

☆ 간조사)) 질병관리 >> 인수공통감염병

동물 병원소 : 사람을 제외하고 중요한 병원소 중 하나에요~대표적 동물은 쥐, 개, 돼지, 소, 새 등이 해당되요^^  인수공통감염병: 사람 (인), 동물 (수)사람과 동물이 공통으로 감염되는 병!! 개 + 사람 = 공수병(광견병) 고양이 + 사람 = 톡소포자충증(톡소플라즈마) 돼지 + 사람 = 일본뇌염, 탄저병(가축) 쥐 + 사람 = 페스트, 발진열, 렙토스피라증 닭·오리 = 조류인플루엔자(조류독감) 양 + 사람 = 큐열(가축), 탄저(가축)     관련된 문제풀이   93. 동물이 병원소가 되면서 인간에게도 감염을 일으키는인수 공동 감염병끼리 묶여진 것은? ① 탄저, 결핵, 폴리오, 파상풍② 탄저, 결핵, 공수병, 일본뇌염③ 폴리오, 장티푸스, 공수병, 일본뇌염④ 결핵, 세균성 이질, 폴리오, 탄저⑤..

☆ 간조사)) 질병관리 >> 간접전파 (매개전파)

직접 전파  >>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되는 경우  가장 위험한 전파경로↓호흡기로 공기 or 비말로 감염되는 경우입니다!!     매개물에 의한 전파에는활성 매개체에 의한 전파와비활성 매개체에 의한 전파가 있어요!!    활성매개체 : 살아있는 절지동물에 해당되는 모기, 이, 쥐벼룩 등   비활성매개체 (= 개달물)살아있지 않는 손잡이, 에스켈레이터 벨트 등   간접 전파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매개물을 통해서 전파되는 경우    > 쥐벼룩 페스트, 발진열  모기  일본뇌염, 말라리아, 지카바이러스, 황열, 뎅기열, 사상충, 웨스트나일열 등..  이  발진티푸스  진드기유충 쓰쓰가무시병     관련된 문제 풀이   97. 가장 흔한 병원체 배출의 길이자 전파라는점에서 가장 위험한 장소는? ① 호..

" 달달한 과자와 간식이 아이 성격까지 바꾼다? 부모가 알아야 할 진실 "

우리 아이 집중력 저하와 분노조절 문제, 설탕 때문일 수 있습니다!   우리가 흔히 먹는 과자, 음료수, 빵, 시리얼, 케이크 등에는 많은 양의 당질(당분)이 포함되어 있으며,  이것이 아이의 뇌와 정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    도파민 + 설탕 -> 중독    그런데 문제는설탕이나 과당 같은 단 음식도이 도파민을 " 강하게 자극 "한다는 점이에요.  중독의 시작설탕이나 과당을 먹으면뇌에서 도파민이 확~ 분비돼요. 이 기분 좋은 느낌을 다시 느끼고 싶어서 또 먹고 싶어지게 되죠. 반복되면, 뇌가 이 자극에 익숙해져서 더 많은 양을 원하게 됩니다.    중독으로 가는 과정처음엔작은 양으로도 행복했지만, ▽ 점점 도파민 반응이 둔해지면서더 많은 설탕이 필요해지고, ▽ 안 먹으면 기분이 가라앉..

☆ 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자연능동면역, 자연수동면역, 인공능동면역, 인공수동면역, 선천면역

대표사진 삭제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  면역출처 입력외부에서 침입한 병균(항원)으로부터우리 몸을 방어하는 작용(항체)↓면역은 항원에 대한 항체반응 대표사진 삭제백혈구와 미생물의 결투  선천면역 vs 후천면역출처 입력선천면역은 출처 입력특별한 자극(접촉) 없이타고 태어난 면역을 이야기해요~   후천면역 출처 입력= 획득면역능동적으로든 수동적으로든 획득되는 과정이죠^^      후천면역 종류 출처 입력 자연능동면역 자연수동면역 인공능동면역 인공수동면역    ↓ 인공 = 주사 vs 자연 = 주사 X   능동면역은출처 입력 - 내가 만든 것만드는데 시간은 걸리지만사용기간의 길어요~   수동(피동)면역은출처 입력- 남에 나에게 준 항체만들어진 항체라 바로 쓰지만사용기간이 2~4개월로 정해져 있어요~     자연능..

☆ 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필수예방접종 순서

1. B형 간염예방접종( 0-1-6 ) 2. BCG 접종4주 이내 접종= 한달이내 접종= 28일이내 접종  3. DTaP + IPV + 폐렴 +Hib2 - 4 - 6 + 추가접종(2개월 간격으로 접종) D: 디프테리아T: 파상풍aP: 백일해 IPV: 폴리오 (소아마비) 폐렴예방접종 Hib힙~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=뇌수막염  4. 12개월 이후 MMR + 수두 + 일본뇌염 + A형 간염 M: 홍역M: 유행성이하선염(볼거리)R: 풍진 수두, 일본뇌염, A형 간염   최근에~로타바이러스가 추가되고(2023에 시작되어 2~6개월 사이에 접종합니다) 하지만 로타는먹는 약이다 보니부담이 덜하죠!! 만 11살 여자아이 접종하는HPV 사람유두종 바이러스까지 하면다 마무리가 된 거죠!!!  --------------..

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생균백신, 사균백신

인공능동면역에 해당되는예방접종 (=백신)의 경우 생균백신과 사균백신으로 나뉠수 있어요~   생균백신 (=생백신): 병원미생물을 독력을 약하게 만들뒤살아있는 생균으로 예방접종을 만드는 경우 예시) BCG(결핵예방접종), MMR(홍역, 유행성이하선염), 풍진) 등..  사백신 (=죽은 백신) : 병원미생물을 물리적, 화학적 방법으로죽은 미생물로 예방접종을 만드는 경우 예시) B형간염, 백일해 , 폴리오(소아마비)  톡소이드 (=변성독소, toxoid) : 세균의 외독소를 변질시켜 약하게 만든뒤독소의 대사물질로 예방접종을 만드는 경우 예시) 디프테리아, 파상풍 관련된 문제풀이   109. 생균 백신과 사균 백신의 연결이 옳은 것은? ① 홍역 - 풍진② B형 간염 - 콜레라③ 결핵 - 탄저④ 결핵 - 장티푸스⑤..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