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병원소 = 저장소
>> 병원체가 머무는 장소

환자 (현성감염자)
: 명백하게 질병에 이환되어 있는 사람
보일 (현), 증상 (상)
- 임상증상이 보이는 자
개인으로는 위험하나
지역사회 측면에서는 효과적 관리가 가능해요^^
무증상 감염자 (불현성감염자)
: 증상에 가볍거나 약해서
인지되지 않는 환자
아니 (불), 보일 (현), 증상 (상)
- 증상이 보이지않는 자
개인으로는 위험성이 적으나
지역사회 측면에서는 감염 확인이 안되기 때문에
유행발생이 더 많이 될수 있어 위험해요!!
보균자
: 임상증상 없거나 건강하나 병원체를 가지고 있는자
잠복기 보균자
- 발병 전 보균자
병원체가 숙주에게 증상이
아직 발생하지 않은자
회복기 보균자
- 질병 치료 후 임상증상 없으나
병원체 배출하는 경우
건강 보균자 **
- 감염되었으나 전혀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
병원체는 배출하는 경우
- 감염병 관리상 가장 위험해요~
관련된 문제풀이
87. 명백하게 병원체에 감염되어 임상 증상이
나타나는 감염을 가리켜 무엇이라고 하는가?
① 현성 감염자(환자)
② 일시적 보균자
③ 회복기 보균자
④ 불현성 감염자
⑤ 잠복기 보균자
답: ① 현성 감염자(환자)
88. 증세가 나타나기는 하나 가볍거나 미미해서
거의 인지되지 않는 불현성 환자를 지칭하는 것은?
① 무증상 감염자
② 잠복기 보균자
③ 환자
④ 만성 보균자
⑤ 회복기 보균자
답: ① 무증상 감염자
89. 잠복기의 정의로 옳은 것은?
① 감염성 질환에서 회복되어 학교나 작업장으로 돌아가는 시기
② 감염성 질환으로부터 회복될 때까지 인체에 병원체가 들어가 있는 시기
③ 병원체가 숙주에게 있는 시기
④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하여 증상이 발현되기까지의 기간
⑤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하여 증상이 없어지기까지의 기간
답: ④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하여 증상이 발현되기까지의 기간
90. 잠복기간 중에 타인에게 병원체를 전파시킨 것을 잠복기 보균자라 한다.
그 대표적인 질환으로 옳은 것은?
① 세균성 이질
② 폴리오
③ 백일해
④ 장티푸스
⑤ 일본뇌염
답: ③ 백일해
▼
세균성 이질, 장티푸스는 먹어서 걸리는 경구감염으로 제외되며
일본뇌염도 모기매개이기 때문에 병원체 전파에서 빼야 해요~
그럼 폴리오 와 백일해가 남죠~
폴리오는 소아마비로 소화기, 호흡기 감염이 가능하고
백일해는 호흡기계로 감염됩니다~
이 중 호흡기 감염으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
감염률이 높은 것이 백일해이며
특히 어린이집, 유치원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해요^^
91. 어떤 감염병은 보균자에 의해 감염된다.
보균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병원균에 오염된 비동물성 물질
② 질병의 원인균을 간진하고 있는 곤충
③ 감염병을 앓고 있는 사람
④ 감염성 병원균을 간직하고 있으나 그 질병의 증상이 없는 사람
⑤ 감염이 되고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사람
답: ④ 감염성 병원균을 간직하고 있으나 그 질병의 증상이 없는 사람
92. 병원체가 침입하였으나 임상증상이 전혀 없고 건강자와 다름없으나
병원체를 배출하는 보균자로 특히 감염병 관리상 문제되는 사람음?
① 회복기 보균자
② 잠복기 보균자
③ 환자
④ 건강 보균자
⑤ 만성 보균자
답: ④ 건강 보균자
'(간조사) 교과 이론 요약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☆ 간조사)) 질병관리 >> 경구감염 = 수인성감염 (소화기계감염병) (0) | 2025.04.08 |
---|---|
☆ 간조사 )) 질병관리 >> 감염력, 병원력, 독력 (0) | 2025.04.08 |
☆ 간조사)) 질병관리 >> 인수공통감염병 (0) | 2025.04.06 |
☆ 간조사)) 질병관리 >> 간접전파 (매개전파) (0) | 2025.04.06 |
☆ 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자연능동면역, 자연수동면역, 인공능동면역, 인공수동면역, 선천면역 (0) | 2025.04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