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간조사) 기출문제 문제풀이

23년 상반기 간호조무사 기출문제풀이 11-15번

요미家 2024. 3. 9. 16:50
728x90
반응형
SMALL

 

11. 치아의 구성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백악질은 치관의 맨 바깥층이다.

 

② 치수에는 신경과 혈관이 존재한다.

 

③ 치관은 치조골 안에 있는 치아이다.

 

④ 법랑질은 치근의 겉면을 싸고 있다.

 

⑤ 상아질에는 불소가 가장 잘 침착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2번

 

백악질은 치관의 맨 바깥층이다.

-> 치과는 치아머리에 해당하고 가장 바깥층은

법랑질 = 에나멜질 = 사기질 

 

② 치수에는 신경과 혈관이 존재한다.

 

치관은 치조골 안에 있는 치아이다.

- 치조골은 치아의 아래인 치근에 해당돼요~

 

④ 법랑질은 치근의 겉면을 싸고 있다.

치아의 가장 윗부분이 치관(이머리)

치아의 뿌리에 해당하는 치근(이뿌리)    

치관과 치근의 사이가 치경(이목)이에요~

-> 법랑질을 가장 겉면이니 치관에 해당돼요~

 

상아질에는 불소가 가장 잘 침착된다.

-> 불소 침착 부위는 법랑질이에요~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12. 발치 직후 환자에게 제공해야 하는

간호보조활동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물을 마실 때 빨대 사용을 금지한다.

② 격렬한 운동을 하게 한다.

③ 뜨거운 음료를 마시게 한다.

④ 침이나 피를 자주 뱉게 한다.

⑤ 발치 부위의 뺨에 온찜질을 해 준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1번

 

① 물을 마실 때 빨대 사용을 금지한다.

 

격렬한 운동을 하게 한다.

-> 출혈 가능성으로 강한 압력이 필요한 운동은 피해요~

 

뜨거운 음료를 마시게 한다.

-> 지혈에 도움이 되는 것은 찬 음료겠죠~

 

④ 침이나 피를 자주 뱉게 한다.

-> 지혈을 돕기 위해 침을 삼키는 것이 좋아요!!

 

⑤ 발치 부위의 뺨에 온찜질을 해 준다.

-> 발치 후 24시간 동안은 냉찜질이 지혈과 

부종을 줄여주는데 도움이 돼요~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13. 피부에 음압을 작용시켜

어혈을 제거하고 체질을 정화하는 요법은?

 

① 침요법

② 양생술

③ 구요법

④ 부항요법

⑤ 추나요법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4번 

 

부항은 불을 사용하는 부항과

음압을 사용하는 부항이 있어요~

음압을 사용하는 경우엔 

진공정혈요법이라고 불러요^^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14. 한의 처치를 위한 간호보조활동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구요법을 위해 장침을 준비한다.

② 부항 시간은 30분 이상 유지한다.

③ 발침 후 뽑은 침의 개수를 재확인한다.

④ 사용한 침은 솜으로 닦아 재사용한다.

⑤ 추나요법을 위해 쑥뜸을 준비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3번 

 

구요법을 위해 장침을 준비한다.

-> 구요법 = 뜸요법이에요~

장침이 필요한 경우는 침요법이요~

 

② 부항 시간은 30분 이상 유지한다.

->  20분을 넘기지 않아요~

 

 

③ 발침 후 뽑은 침의 개수를 재확인한다.

 

④ 사용한 침은 솜으로 닦아 재사용한다.

-> 침은 피부를 뚫고 들어가는 침습적인 요법이므로

사용한 침은 일회용  or 고압증기멸균을 시행해요~

 

추나요법을 위해 쑥뜸을 준비한다.

-> 쑥뜸은 구법(뜸요법)으로 해요!!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15. 통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만성 통증은 우울증을 감소시킨다.

 

② 급성 통증 시 깊고 느린 호흡을 한다.

 

③ 급성 통증은 근육의 긴장도를 감소시킨다.

 

④ 통증은 실제적 또는 잠재적

조직 손상에 대한 주관적 감각이다.

 

⑤ 관심 있는 활동으로

주의를 돌렸을 때 통증은 더 심해진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4번

 

 

① 만성 통증은 우울증을 감소시킨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> 우울증을 증가시켜요 ㅠ.ㅠ

 

② 급성 통증 시 깊고 느린 호흡을 한다.

             -> 갑자기 통증이 생기면 호흡은 빨라져요~

 

③ 급성 통증은 근육의 긴장도를 감소시킨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> 근육 긴장도를 증가시켜요~

 

④ 통증은 실제적 또는 잠재적

조직 손상에 대한 주관적 감각이다.

 

⑤ 관심 있는 활동으로

주의를 돌렸을 때 통증은 더 심해진다.

-> 주의가 분산되면서 통증이 줄어요~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