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간조사) 교과 이론 요약정리

☆ 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감염병 환자 (신고)

요미家 2025. 4. 2. 16:25
728x90
반응형
SMALL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결핵환자로 확진이 되는 경우

 

1번이 신고 ->> 2번이 격리

 

우선 확진을 처음 확인하는 사람은 의사겠죠!!

 

 

 




 


의사에 따라 신고 순서가 달라요!!

 

 

의료기관에 소속된 의사의료기관에 소속된 지 아니한 의사 있어요!!

 

그럼 신고도 차이가 있겠죠~

 

 

 

의료기관에 소속되지 아니한 의사 ->> 
보건소장에게 바로 신고!!

 

: 보통 의원급으로 의사가 1,2명인 경우이며 신고는 보건소장에게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의료기관에 소속된 의사 ->
병원장 -> 보건소장 & 질병관리청장

 

: 종합병원급으로 여러 진료과와 병동이 존재하며 외래 환자 등 사람들의 노출여부가 많은 경우일 것입니다. 이 경우 의사는 병원장에게 먼저 보고하고

 

병원장이 보건소장이나 질병관리청장에게 보고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
법정감염병에 따라 신고기간이 달라요.

 

 

1급 -> 즉시 신고

2,3급 -> 24시간이내

4급 -> 7일 이내

 

 

결핵은 2급에 해당되므로

24시간 이내 신고가 되겠네요~

 

 

 

 

관련된 문제 풀이

 

 

1. 한 마을에서 결핵 환자가 여러명 발생되었다.

이 마을에서 결핵 환자에 대해 가장 먼저

해야 할 일로 옳은 것은?

 

① 병원에 즉시 보낸다.

② 요양을 시킨다.

③ 격리시킨다.

④ 투약을 지시한다.

⑤ 보건소에 신고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⑤ 보건소에 신고한다.

 

 

 

 


 

 

 

2. 감염병 발생 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?

 

① 방역 조치를 취한다.

② 예방접종시킨다.

③ 병원체를 확인한다.

④ 환자를 격리시킨다.

⑤ 그 지역을 차단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④ 환자를 격리시킨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 

 

3. 의료기관의 장 및 감염병 병원체 확인기관의 장이 제4급 감염병 환자 진단 보고를 받은 경우 신고주기는?

 

① 3일 이내

② 7일 이내

③ 15일 이내

④ 30일 이내

⑤ 즉시

 

 

 

 

 

답: ② 7일 이내

 

 

 

 

 


 

 

4. 의료기관에 소속되지 아니한 의사나 한의사가 감염병 환자를 진단하였거나 그 사체를 검안하였을 때에는 누구에게 신고하나?

 

① 관한 보건소장

② 시장 · 군수 · 구청장

③ 보건복지부 장관

④ 도지사

⑤ 서울특별시장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① 관한 보건소장

 

 

 

 

 


 

 

5. 의료기관의 장 및 감염병 병원체 확인기관의 장이 제1급 감염병 환자 진단 보고를 받았을 때 신고주기는?

 

① 즉시

② 24시간 이내

③ 3일 이내

④ 5일 이내

⑤ 30일 이내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① 즉시

 

 

 

 

 

 


 

 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