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결핵이 진단되면..
결핵으로 진단되면 병원에 음압격리되며 항결핵제를 복용하게 돼요~
항결핵제는 4~8알을 한꺼번에 복용하는병용투여로 치료하는데
결핵균이 내성도 잘생기고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함입니다.
↓
약을 복용할 때 식후 30분에 복용하는데
그건 약물에 의해 위장장애 증상을 줄이기 위해서지 약물에 효과를 높이기 위해선 식전복용이 더!!!! 좋은 거죠~
그래서 결핵은 식전에 복용하며 공복 시간이 가장 긴 아침 식전에 복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
항결핵제를 2~3주 정도 투여하면 활동성 결핵균이 비활동성으로 바뀌게 돼요~
약물요법으로 잠을 자는 상태로 변한다고 생각하면 좋은 것 같아요~
객담검사 상 3회 이상 비활동성으로 확인되면 퇴원하게 되죠~
▼
감염력이 많이 떨어진 상태에서
통원치료하며 완치될 때까지
약을 복용하며 치료합니다.
결핵 치료기간
잠복 결핵의 경우 (활동 전 결핵) -> 6개월~9개월
활동성 결핵환자는 -> 짧게는 1년에서 3~5년까지 길며
내성이 너무 잘 생기는 특성이 있어 약 복용을 임의로 중단할 경우 치료 기간이 더 길어진다고 해요
반드시!!! 완치판정이 될 때까지 약 복용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겠죠^^
약의 종류가 너무~ 많지만 꼭 알아야 하는 약만 보도록 할게요!
항결핵제 복용
우선적으로 처방하는 1차약 종류에는
INAH(아이소니지아드)
RMP(리팜핀)
EMB(에탐부톨)
PZA(피라진아미드)
SM(스트렙토마이신)
이중에서도 더 중요한 약은 2개 정도 돼요~
INAH(아이소니지아드)
부작용에는 말초신경염이 있습니다.
손끝, 발끝인 말초에 염증이 생겨 빨갛고 부으며 신경 증상이 있어 전기자극처럼 찌릿한 느낌이 난다고 하니 일상생활에 불편감이 심할 것 같아요~
↓
이런 말초신경염 완화를 위해 비타민 B6(피리독신)을 같이 복용시키기도 합니다.
SM(스트렙토마이신)
SM ->> 주사약으로 IM(근육)
약의 효과는 너무 좋으나 부작용이 난청(청력장애)가 있어요~
SM이 제8뇌신경을 공격하여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하네요ㅠ.ㅠ
RMP (리팜피신)
리팜핀은 땀, 소변 등이
빨갛게 나오다 보니 피 눈물도 생기죠...
EMB (에탐부톨)
->> 시력장애(백내장)
PZA (피라진아마이드)
->> 간 독성이 커서 황달, 피로감이 발생할 수 있어요~
관련된 문제풀이
196. 결핵약은 언제 복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?
① 저녁식사 후
② 취침 전
③ 아침식사 후
④ 아침식사와 함께
⑤ 아침에 일어나서 직전 공복 시
답: ⑤ 아침에 일어나서 직전 공복 시
199. 아이소나이아지드 (INAH)의 부작용 감소를 위해
비타민 B6 (pyridoxine)를 함께 투여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?
① 소화기 장애 방지
② 말초신경염 방지
③ 청력 장애 방지
④ 현훈 방지
⑤ 피부 발진 방지
답: ② 말초신경염 방지
201. 결핵을 오랫동안 앓고 있는 A씨에게 항결핵제를
단독으로 쓰지 않고 병용으로 쓰는 이유로 옳은 것은?
① 합병증을 줄이고 증상을 완화시킨다.
② 특이한 약 효과가 생긴다.
③ 약물의 내성을 지연시키고 약효가 증진된다.
④ 감염력을 감소시키고 약 복용 횟수를 줄인다.
⑤ 치료기간이 단축된다.
답: ③ 약물의 내성을 지연시키고 약효가 증진된다.
'(간조사) 교과 이론 요약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☆ 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예방접종 약 관리 (0) | 2025.04.02 |
---|---|
☆ 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감염병 환자 (신고) (0) | 2025.04.02 |
☆ 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기생충 정리 (1) (0) | 2025.04.02 |
☆ 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기생충 정리 (2) (0) | 2025.04.02 |
☆ 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발진성질환 (홍역, 성홍열, 수두) (0) | 2025.03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