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영구적 피임
↓
: 남성- 정관절재술
여성- 난관결찰술
일시적 피임
↓
루프 (자궁내장치)
경구피임약
콘돔
살정자제 등..

피임
: 임신을 피하는 법
영구적 피임
= 불임술
남자
정자가 내려가는 길인
정관을 절제술은 수술이죠~
여자
수정란에 착상을 돕는
난관을 찝어서 막아버리는
난관결찰술이죠.
여자는 수술하고
바로 피임이 되는 것에 반해
남자는 정관에 남아있는
정자로 인해 수술하고도
1 달반정도는
다른 피임을 병행해야 해요~
일시적 피임
경구피임약

= 먹는 피임약 (경구)
( 화학적인 방법)
복합호르몬을 먹으면
몸에서 임신했다는 착각
난소에서 한 달에 한 번씩
난자를 보내는데...
임신했다고 생각하니
난자를 내보내지 않죠~
↓
배란을 억제
하지만 약에 용량을
너무 강하게 쓸 수 없기 때문에
적은 양으로 매일 먹어서
혈액에 일정량을
유지하게 되죠~
경구피임약 복용을 깜박했을 때
근데 우리도 사람이다 보니
깜박하는 경우가 있잖아요~
↓
만약 아침에 먹는 사람인데
깜박해서 못 먹었으면
생각났을 때 바로 먹으면 돼요~
저녁에 먹는 사람의 경우는
다음날 아침에 먹고
저녁에는 원래 루틴대로 먹고~~
24시간!! 꼬박 하루를
넘겨버린 경우에는
바로 2알을 먹어야 해요~
혈중에 농도가 약해지면
다시 난소가 일을 하게 되고
배란을 될 수 있으니깐요~~
그래서 경구약은
꾸준히 먹어야 피임이 돼요!!
↓
복합호르몬제 21 + 비타민 7로
되어있는 이유가
매일 먹는 습관을
들이기 위해서인 거죠!!
경구피임약 부작용
아무래도 약이다 보니
먹는 초기에 부작용이 있죠~
오심, 구토, 피부착색, 유방통 등...
임신과 비슷한......
초기에만 나타나고
꾸준히 복용하면
부작용은 나아져요~
경구피임약을
치료제로 쓰는 경우가 있어요
↓
월경 전증후군으로
생리를 할 때마다 온몸이
너무 아프고
일상생활자체가 어려운 경우엔
산부인과에서
피임약을 쓰기도 해요~
전 세계적으로 많이 쓰이고
부작용도 적으며
효과도 좋은
피임약이라고 하네요^^
자궁 내 장치 (루프)
양쪽 난관에 Y자 모양의 기구를
삽입하는 경우
= 물리적 피임법
모유수유 중 가능한 피임법
출산 후
터울조절 때문에
피임을 원하는 경우에
많이 추천한다고 해요^^
(신혼부부는 콘돔추천!!)
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는 것을
막는 형태죠^^
루프 하려면 언제가야하나요?
만약 루프 삽입을 원한다면
생리가 끝날 즈음에
방문하면 돼요~
루프를 걸어놓고
자리를 잡을 시간이 필요한데~
삽입 후에 갑자기 생리를 하면
루프 위치가 바뀌게 되고
그럼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거죠~~
(그래서 생리양이 많은 분들도
권장하지 않아요!!)
가격은 50~70만 원 정도로
고가에 해당되는 거죠~
루프 삽입하는 초음파는 왜 하나요??
루프 삽입 전에
초음파는 왜 하는 걸까요?
자궁이 건강한지 보는 거예요~
자궁에 염증이 있거나 질환,
혹이 있으면
루프 삽입이 안 되는 거죠~~
삽입하면 5년을 사용할 수 있으니
장기간이라고 얘기할 수 있죠~
삽입 초에 3~4개월에서
길면 6개월까지
질분비물 양이
늘어날 수 있는 부작용 있어요~
사람에 따라서는 루프가
아무래도 외부 이물질이고
난관에 걸쳐있다가
자꾸 건드리게 되면
혹이 생긴다거나
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고
아니면 그냥 자연적으로
빠져버릴 수도 있다고 하네요~
관련 문제 풀어보기
54. 경구피임제에 대한
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피임 효과가
좋지 않은 방법이다.
② 월경량이 감소하고
월경통이 없어지며,
월경 전 긴장 증상이 감소한다.
③ 부부간 협력이
있어야 한다.
④ 대부분의 부작용은
계속 복용한 후 나타난다.
⑤ 월경주기가 부정확하면
복용해서는 안된다.
▼
① 피임 효과가 좋지 않은 방법이다.
-> 전세계적으로 가장
효과가 좋은 피임방법
이라고 하네요~
답: ② 월경량이 감소하고
월경통이 없어지며,
월경 전 긴장 증상이 감소한다.
③ 부부간 협력이 있어야 한다.
-> 협력 없이 혼자도 가능하죠~
④ 대부분의 부작용은
계속 복용한 후 나타난다.
-> 부작용은 초기에만 나타나요~
⑤ 월경주기가 부정확하면
복용해서는 안된다.
-> 월경주기가 부정확한 경우에
복용하게 되죠~
55. 경구피임제 28정 복용시
21정 + 7정을 먹는데
왜 7정을 복용하는지
그 이유로 옳은 것은?
① 미용 효과를 위해
② 매일 먹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
③ 피임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
④ 영양 공급을 위해
⑤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
▼
답: ② 매일 먹는
습관을 들이기 위해
56. 매일 저녁에 피임약을
복용하는 사람이 어제 저녁에
피임약 복용하는 것을 잊어버리고
오늘 아침에야 생각났다면?
① 전과 같이 저녁에 1정을 복용한다.
② 1정은 아침에, 1정은 저녁에 먹는다.
③ 아침에 2정을 복용한다.
④ 저녁에 2정을 복용한다.
⑤ 주기를 다시 시작하여 복용한다.
▼
답: ② 1정은 아침에,
1정은 저녁에 먹는다.
57. 경구피임제를 매일 복용 중이던
여성이 깜빡 잊어버리고
하루를 걸렀을 경우 피임을
지속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?
① 즉시 2정을 복용한다.
② 즉시 1정을 복용한 후
제시간에 1알을 복용한다.
③ 즉시 복용한 후
12시간 후에 다시 복용한다.
④ 제시간에 1정을 복용한다.
⑤ 제시간에 2정을 복용한다.
▼
답: ① 즉시 2정을 복용한다.
59. 경구 피임제 복용에 관한
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일시적 피임 방법 중
가장 효과가 나쁘다.
② 구역, 체중 증가 등의 임신 증상과
비슷한 부작용이 나타난다.
③ 영구 피임의 가능성이 있다.
④ 불규칙하게 복용한 경우라도
피임의 효과가 확실하다.
⑤ 화학적 작용으로
정자를 죽이는 것이다.
▼
답: ② 구역, 체중 증가 등의
임신 증상과 비슷한
부작용이 나타난다.
63. 월경이 끝날 무렵에
삽입하는 것이 좋으며
수정란의 착상을 방지 · 방해하는
원리의 피임법은?
① 월경주기법
② 콘돔
③ 자궁 내 장치
④ 월경조절법
⑤ 경구피임제
▼
답: ③ 자궁 내 장치
64. 보통 루프라고 부르는
여성의 자궁 내 장치에 관한
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장기간 피임이
불가능하다.
② 자궁 내 염증이 있더라도
삽입할 수 있다.
③ 삽입 후 3~4개월까지
월경량과 질 분비물이 증가할 수 있다.
④ 남성이 협조가 없으면
사용할 수 없다.
⑤ 정자가 자궁 내로
진입하는 것을 막는다.
▼
답: ③ 삽입 후 3~4개월까지
월경량과 질 분비물이
증가할 수 있다.
65. 현재 모유수유를 하고
월경주기가 불규칙한
두 아이의 엄마가 알맞은
터울 조절을 위해 피임을 하려고 한다.
가장 알맞은 피임법은?
① 경구피임제
② 기초체온법
③ 자궁 내 장치
④ 콘돔
⑤ 월경조절법
▽
답: ③ 자궁 내 장치
68. 자궁 내 장치를 할 수 있는
경우로 옳은 것은?
① 골반의 염증
② 과다한 월경
③ 자궁암
④ 첫 아이를 낳은 여성
⑤ 임신 경험이 없는 여성
▼
답: ④ 첫 아이를 낳은 여성
'(간조사) 교과 이론 요약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매슬로의 기본욕구단계 (0) | 2025.03.30 |
---|---|
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질병의 3요소(병원체, 숙주, 환경), 병원체의 특성 (감염력, 병원력, 독력) + 보균자 / 이론+문풀 (0) | 2025.03.30 |
공중보건 - 인구출산 >> 노령화지수, 부양비 / 이론+문풀 (0) | 2025.03.29 |
공중보건 - 인구출산 >> 인구동태 vs 인구정태 / 문제풀이 (0) | 2025.03.29 |
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공단검진 / 이론+문풀 (0) | 2025.03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