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간조사) 교과 이론 요약정리

공중보건 - 인구출산 >> 노령화지수, 부양비 / 이론+문풀

요미家 2025. 3. 29. 23:24
728x90
반응형
SMALL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노령화 지수

 

 

 

분자는 65세 이상

=노년 인구

 

분모는 0~14세 (15세 미만)

=유소년 인구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부양비는 종류

 

 

 

 

총 부양비

비생산연령인구 (0-14 + 65세이상) / 생산연령인구 (15-64세) × 100

 

 

유소년부양비

( 투자 개념 )

 

유소년인구 ( 0-14세 ) / 생산연령인구 (15-64세) × 100

 

 

 

노년부양비

( 소비 개념 )

노인인구 ( 65세 이상 ) / 생산연령인구 (15-64세) × 100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부양비

경제활동인구(소득O)가

비경제활동인구(소득X)를

 

얼마나 부양해야 되는지를

계산하는 산식

 

 

 

 

↓↓

 

노령화 지수가 높아진다는 것은

 

노인 인구의 증가를 의미하고

노인인구가 증가하면

 

노년부양비가 증가하게 되죠

 

 

생산인구가 부양해야하는

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게되고

경제발전을 더디게

할수 있다고 하네요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▼▽▼

 

 

문제은행 문제풀이

 

 

 

 

 

14. 15세 미만에 의해 65세 이상 인구가

많은 비율을 보일 때 증가하는 것은?

 

① 총 부양비

② 유소년 부양비

③ 노령화 지수

④ 양육비

⑤ 성비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③ 노령화 지수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 

 

15. '노인 인구(노령화지수)가 증가(높다)한다.'는

말이 의미하는 것은?

 

① 청소년 인구가 증가한다.

② 노년 부양비가 감소한다.

③ 노년 부양비가 증가한다.

④ 생산연령 인구가 증가한다.

⑤ 평균수명이 감소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③ 노년 부양비가

증가한다.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 

18. 연령별 구성에서 사회적 · 경제적으로

큰 의미가 있는 인구지수인

부양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경제활동인구에 대한

비경제활동인구의 비이다.

 

② 저출산일 경우

유소년 교육비가 증가한다.

 

③ 분자는 15~64세까지의 인구이다.

 

④ 총 부양비가 올라가면

경제발전에 도움이 된다.

 

⑤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

부양비가 감소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① 경제활동인구에 대한

비경제활동인구의 비이다.

 

② 저출산일 경우

유소년 교육비가 증가한다.

-> 감소해요~

 

분자는 15~64세까지의 인구이다.

-> 15~64세 = 경제활동인구

경제활동인구는 분모로 가야죠~

 

④ 총 부양비가 올라가면

경제발전에 도움이 된다.

-> 경제발전에 도움이 안돼요ㅠ

 

⑤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

부양비가 감소한다.

-> 부양비가 증가해요~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19. 부양비에 대한

설명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노년 부양비의 분자는

65세 이상의 인구 수이다.

 

② 유소년 부양비의 분자는

0-20세 인구 수이다.

 

③ 부양비 계산 시 분모에는

총 인구 수가 들어간다.

 

④ 총 부양비. 노년 부양비로 나뉜다.

 

⑤ 총 인구에 대한

비경제활동인구비를 말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① 노년 부양비의 분자는

65세 이상의 인구 수이다.

 

② 유소년 부양비의 분자

0-20세 인구 수이다.

-> 유소년 부양비의 분자는

0-14세(15세미만) 입니다^^

 

③ 부양비 계산 시 분모에는

총 인구 수가 들어간다.

-> 부양비의 분모는

경제활동인구 수 입니다^^

 

총 부양비. 노년 부양비로 나뉜다.

-> 총 부양비, 유소년 부양비,

노년 부양비로 나뉘어요~

 

총 인구에 대한

비경제활동인구비를 말한다.

-> 경제활동 인구에 대한 비경제활동인구비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0. 부양비에 관한

설명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총 부양비는 생산연령인구에 대한

비생산연령인구의 비이다.

 

② 총 부양비를 계산할 때

분자는 15-64세 인구수이다.

 

③ 유년부양비를 계산할 때

분모는 0-14세 인구수이다.

 

④ 노인 인구가 증가할수록

노년부양비는 감소한다.

 

⑤ 총 부양비가 높을수록

경제적 부담이 적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① 총 부양비는 생산연령인구에 대한

비생산연령인구의 비이다.

 

② 총 부양비를 계산할 때

분자 15-64세 인구수이다.

-> 15-64세는

경제활동연령으로 분모입니다~

 

③ 유년부양비를 계산할 때

분모 0-14세 인구수이다.

-> 분자입니다~

 

④ 노인 인구가 증가할수록

노년부양비는 감소한다.

-> 노년부양비는 증가하죠~

 

⑤ 총 부양비가 높을수록

경제적 부담이 적다.

-> 경제적 부담이 가중됩니다~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 

 

21. 연령별 구성에서 부양비에 대한

설명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부양비가 높을수록

국가 재정도가 건전해진다.

 

② 총 부양비, 유소년 부양비,

노년 부양비로 나눈다.

 

③ 부양비 계산 시 분모에는

총 인구 수가 들어간다.

 

④ 유소년 부양비의

분모는 0-14세의 인구 수이다.

 

⑤ 노년 부양비의

분자는 15-64세의 인구 수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① 부양비가 높을수록

국가 재정도가 건전해진다.

-> 건전X, 건전성이 떨어지죠ㅠ

 

답: ② 총 부양비, 유소년 부양비,

노년 부양비로 나눈다.

 

③ 부양비 계산 시

분모에는 총 인구 수가 들어간다.

-> 분모는 경제활동인구

( 15~64세 )

 

④ 유소년 부양비의 분모는

0-14세의 인구 수이다.

-> 분자입니다~

 

⑤ 노년 부양비의 분자

15-64세의 인구 수이다.

-> 분모입니다~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