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간조사) 교과 이론 요약정리

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감수성, 면역 정의 / 문제풀이

요미家 2025. 3. 27. 20:08
728x90
반응형
SMALL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감수성

: 숙주에 침입한 병원체에 대항하여

감염이나 발병을 저지할 수 없는 상태

 

= 질병이 발생하기 쉬운 상태

= 면역력, 저항력이 떨어진 상태

 

 

면역

: 외부에서 침입한 병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방어하는 작용

 

- 외부 자극으로부터 생체를 보호

- 동일한 균의 단백성분에 두번 다시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▼▽▼

 

문제풀이

 

 

101. '감수성이 높다'는 말의 의미로 옳은 것은?

 

① 어떤 병원체에 대한 방어기전을

보유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.

 

② 어떤 병원체에 대한 저항력을

충분히 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.

 

③ 어떤 병원체에 대해 저항력이 약하므로

병을 일으키기 쉬운 상태를 말한다.

 

④ 어떤 병원체가 침입되었음을

빨리 감지하는 힘을 말한다.

 

⑤ 자신의 몸에서 항체를 만들어 내는 속도를

의미하는 것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감수성이 높다는

면역력이 낮다, 저항력이 낮다와 같아요~

 

답:③ 어떤 병원체에 대해 저항력이 약하므로

병을 일으키기 쉬운 상태를 말한다.

 

 

 

① 어떤 병원체에 대한 방어기전을

보유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.

-> 방어기전보유 = 면역력이 높은 거죠~

 

② 어떤 병원체에 대한 저항력을

충분히 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.

-> 저항력이 충분하면 면역이 높죠~

 

④ 어떤 병원체가 침입되었음을

빨리 감지하는 힘을 말한다.

-> 병원체 침입을 빨리 감지하면

면역반응이 잘 나타나는 거죠~

 

⑤ 자신의 몸에서 항체를 만들어 내는 속도를

의미하는 것이다.

-> 항체는 미생물과 싸우는 군인이니

항체를 만들어내는 속도가 좋다는 말은

면역력이 높다는 의미입니다~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102. 면역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?

 

① 항원이 체내에 들어왔을 때

생체를 특별히 보호하는 작용을 뜻한다.

② 생체의 항원에 대한 저항성의 저하이다.

③ 항원의 작용에 대한 항체 생산이다.

④ 항원에 대한 감수성 저하 상태이다.

⑤ 병 또는 독소에 대한 저항성을 의미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② 생체의 항원에 대한 저항성의 저하이다.

 

면역은 항원(미생물)에 저항하는 힘이 높다는 말이니

저하보다는 상승으로 말을 바꿔야 해요!!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