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간조사) 교과 이론 요약정리

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감염병 관리의 원칙 /이론+문풀

요미家 2025. 3. 27. 20:06
728x90
반응형
SMALL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감염병 = 전염병

 

유행, 전파되지 않도록

차단하는 방법에는

 

1. 전파과정의 차단

2. 면역 증가

3. 발병한 환자의 조치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전파과정의 차단

 

 

 

① 감염원의 처리

 

감염의 원인이 되는 것을 처리

 

그럼 사람의 경우에는

환자는 입원시켜 치료하고

 

보균자를 조기발견,

조기치료해야하는 거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② 병원소 제거

 

병원체가 머무는 장소

의미해서

저장소라고도 해요~

 

감염된 동물

-> 살처분 ㅠ.ㅠ

 

감염된 사람

-> 격리, 치료

 

 

 

 

 

③ 감염력 감소

 

적절한 치료를 하면

완치는 바로 안되고

 

타인에게 전염시키는 감염력은

감소시킬수 있어요~

 

 

 

 

 

 

④ 병원소 격리

 

 

병원소 = 저장소 = 사람

 

환자는 격려와 치료를

병원에서 하고

 

접촉된자, 접촉됨이

의심되는 자의 경우는

 

건강격리하고 해서

일정시간동안 격리해요!

 

 

이때에 일정시간이란 것은

질병마다 잠복기가

다르기때문인거죠~

 

 

격리기간 = 질병의 잠복기

 

 

 

 

 

⑤ 환경위생 관리

 

환경조건을 개선함으로

병원체의 차단을 막는 경우는

 

소화기계감염 (경구감염)이 높고

 

호흡기계 감염(비말감염)은

낮은 편이에요~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▼▽▼

 

문제풀이

 

 

 

117. 감염병 예방에 있어

감염원 처리에 해당하는 것은?

 

① 매개체 서식장소에

살충제를 살포한다.

 

② 병에 대한 약제를

예방적으로 복용한다.

 

③ 환자, 보균자를 조기에

발견하여 치료한다.

 

④ 숙주가 감염원에 접근하여

감염의 위협에 노출되는 것을 제한한다.

 

⑤ 개인위생 계몽교육을 실시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③ 환자, 보균자를

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한다.

 

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 

118. 감염병 환자를 따로

격리해 두는 이유로 옳은 것은?

 

①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해

 

② 병원의 규정이 엄격하기 위해

 

③ 다른 사람에게

감염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

 

④ 환자의 면역 증강을 위해

 

⑤ 약물요법을 사용하기 위해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③ 다른 사람에게

감염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

 

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119. 감염병 발생 시

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?

 

① 방역 조치를 취한다.

② 예방접종시킨다.

③ 병원체를 확인한다.

④ 환자를 격리시킨다.

⑤ 그 지역을 차단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④ 환자를 격리시킨다.

 

 

 

법정감염병이 확인되면

 

1번이 신고

 

2번이 격리

 

 

이 문제에서는

신고가 없기때문에

 

격리가 가장 먼저

해야하는 조치인거죠!

 

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 

120. 감염병 관리 시

질병과 환자 격리기간의

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?

 

① 콜레라 - 5일

② 황열 - 6일

③ 페스트 - 7일

④ 중증급성호흡증후군 - 10일

⑤ 동물 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- 10일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③ 페스트 - 7일

 

 

페스트는 격리기간이

6일입니다^^

 

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 

121. 감염병 관리에 있어서

접촉자에 대하여

격리시키는 기간이 옳은 것은?

 

① 접촉한 환자가

치료될 때까지

 

② 접촉한 환자에게

균의 증명이 안될 때까지

 

③ 그 질병의 잠복기간 동안

 

④ 접촉자에게 예방주사할 때까지

 

⑤ 속발 환자가 생기지 않을 때까지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③ 그 질병의

잠복기간 동안

 

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 

122.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법 중의

하나의 환경위생 관리로

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질환은?

 

① 디프테리아

② 장티푸스

③ 성홍열

④ 홍역

⑤ 볼거리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 ② 장티푸스

 

 

디프테리아, 성홍열,

홍역, 볼거리는

 

모두 호흡기계 감염이라

효과가 별로 없으나

 

 

수인성감염(경구감염)인

장티푸스는

환경관리를 통해

예방효과가 큰 편이에요!

 

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