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간조사) 교과 이론 요약정리

☆ 간조사)) 질병관리 >> STD (성접촉으로 인한 감염병)

요미家 2025. 4. 13. 15:35
728x90
반응형
SMALL

 

 

 

 

STD (성접촉으로 인한 감염병)

 



STD

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

성매개 감염

 

: 직접적인 신체의 접촉 or

혈액, 체액에 의해

 

사람과 사람간에 전파되는

전염성 질환

 

 

원충류 및 기생충성 성매개 감염

= 질편모충증

(트리코모나스 질염)

 

 

바이러스성 성매개 감염

=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

= 사람유두종바이러스(HPV)

= 성기단순포진

 

 

 

 

 

 

세균(박테리아)성 성매개 감염

= 매독

= 임질

- 임질구균(알균)

= 클라미디아 감염증

= 무른궤양(연성하감)

 

 

 

 

 

 


관련된 문제풀이

 

 

 

 

221. 성적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질환인

STD에 속하는 질환끼리 나열된 것은?

 

① 임질, 성홍열, 황열

② 매독, 무른궤양(연성하감), 임질

③ 자궁내막염, 무른궤양(연성하감), 발진열

④ 발진티푸스, 클라미디어 감염증, 홍역

⑤ 발진열, 레지오넬라증, 렙토스피라증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② 매독, 무른궤양(연성하감), 임질

 

 

임질, 성홍열, 황열

-> 성홍열 (세균, 호흡기),

황열 (모기매개)

 

② 매독, 무른궤양(연성하감), 임질

 

자궁내막염, 무른궤양(연성하감), 발진열

-> 자궁내막염 (염증성질환),

발진열 (리케치아, 쥐벼룩)

 

발진티푸스, 클라미디어 감염증, 홍역

-> 발진티푸스 (리케치아, 이),

홍역 (바이러스, 호흡기)

 

발진열, 레지오넬라증, 렙토스피라증

-> 레지오넬라증 (호흡기, 에어컨청소)

렙토스피라증 (쥐벼룩 분비물)

 

 

 


 

 

 

 

 

222. 성병 중 매독 관리에 대한

설명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매독은 임신이 되기 전에

반드시 치료해야 한다.

② 광범위하게 테트라사이클린을 사용하여

환자를 치료한다.

③ 부부 중 한 사람이 감염되었을 때에는

감염된 사람만 치료받도록 한다.

④ 태아의 선천성 매독을 예방하기 위하여

임산부에게 매독검사를 실시한다.

⑤ 분만 직후 신생아 눈에

질산은 용액이나 항생제를 점적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④ 태아의 선천성 매독을 예방하기 위하여

임산부에게 매독검사를 실시한다.

 

 

 

① 매독은 임신이 되기 전에

반드시 치료해야 한다.

-> '반드시'가 문제인거죠~^^

 

광범위하게 테트라사이클린을 사용하여

환자를 치료한다.

-> 페니실린으로 치료해요~

 

③ 부부 중 한 사람이 감염되었을 때에는

감염된 사람만 치료받도록 한다.

-> 같이 치료 받아야 해요~

 

④ 태아의 선천성 매독을 예방하기 위하여

임산부에게 매독검사를 실시한다.

 

분만 직후 신생아 눈에

질산은 용액이나 항생제를 점적한다.

-> 임질로 인해 눈에 임균성 안염에 생겼을 때

 


 

 

 

 

223. 매독 환자에게 교육을 할 때 교육자로서

바람직한 역할은 무엇인가?

 

① 임신 중에 매독은 태아에게

감염될 수 없음을 설명한다.

 

② 매독은 간접 접촉에 의한

감염 질환임을 설명한다.

 

③ 매독은 치료 가능한 질환이므로 성실히 치료에 임할 것을 권한다.

 

④ 완전히 치료하기전에도 성적 접촉은 가능하다는 것을 교육한다.

 

⑤ 수혈로 감염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③ 매독은 치료 가능한 질환이므로

성실히 치료에 임할 것을 권한다.

 

 

① 임신 중에 매독은 태아에게 감염될 수 없음을 설명한다.

-> 매독은 수직감염, 태반감염으로

임신 16-20주이후에 태반을 통해

태아에게 가죠..

 

② 매독은 간접 접촉에 의한

감염 질환임을 설명한다.

-> 직접접촉 입니다~

 

③ 매독은 치료 가능한 질환이므로

성실히 치료에 임할 것을 권한다.

 

완전히 치료하기전에도 성적 접촉은 가능하다는 것을 교육한다.

-> 완전히 치료가 끝난 뒤에 가능하죠~

 

⑤ 수혈로 감염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.

-> 혈액으로도 감염되요~

 

 

 
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29. 남녀에게 모두 불임을 초래할 수 있는

성병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임질

② 곤지름

③ 무른궤양(연성하감)

④ 서혜육아종

⑤ 질편모충증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① 임질

 

 

임질의 증상에서 여자는 난소염,

남자는 고환염이 있기 때문에

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

불임 가능성이 있다고 해요~

 
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30. 다음의 각 질환에 대한 조립 중

옳은 것은?

 

① 매독 - 박테리아 - 임산부중독증

② 임질 - 임균 - 신생아안염

③ 성병 - 산전관리 - 격리 조치

④ 매독 - 유전 - 완치 불가

⑤ 후천면역결핍증후군 -

매개물 전파 - 대증요법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② 임질 - 임균 - 신생아안염

 

 

① 매독 - 박테리아 - 임산부중독증

-> 매독으로 산전감염, 태반감염으로

태아에게 영향을 줄수 있어요~

 

② 임질 - 임균 - 신생아안염

 

③ 성병 - 산전관리 - 격리 조치

-> 성병은 격리 치료하지 않아요~

 

④ 매독 - 유전 - 완치 불가

-> 16-20주 이내에 치료가 완료되면

태아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고

만성감염으로 치료기간은 길지만

꾸준히 치료하면 완치가능합니다~

 

⑤ 후천면역결핍증후군 -

매개물 전파 - 대증요법

-> 성접촉, 수직감염

 


 

 

 

 

 

 

231. 성활동이 활발한 연령층에서

감염률의 빈도가

가장 높은 임질의 전파 방법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직접적인 성적 접촉에 의해서

② 대 · 소변에 의해 오염된

음식이나 물에 의해서

③ 오염된 주사기에 찔려서

④ 태반을 통해서

⑤ 수혈에 의해서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① 직접적인 성적 접촉에 의해서

 


 

 

 

 

 

 

232. 임질 환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항생제 투여 시 성관계가 가능하다.

② 모든 접촉자나 성 파트너와

함께 치료받는다.

③ 유산은 안 된다.

④ 전신 감염이 일어나지 않는다.

⑤ 중년들이 잘 걸린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② 모든 접촉자나 성 파트너와

함께 치료받는다.

 

 

 

 

 

▼▽▼

 

① 항생제 투여 시 성관계가 가능하다.

-> 치료기간동안은 성관계 안돼요~

 

유산은 안 된다.

-> 유산 가능성이 크죠ㅠ

 

전신 감염이 일어나지 않는다.

-> 임질은 치료를 안할 경우

여성은 난소염, 남성은 부고환염으로

합병증이 진행되면 전신으로 감염도 발생하고

불임이 되는 경우도 있어요~

 

중년들이 잘 걸린다.

-> 나이랑은 관계가 없죠~

성관계 여부가 더 중요해요~


 

 

 

 

 

 

236. 성병 관리에 있어서 간호조무사의 임무를

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 

① 의사와 간호사를 도와 클리닉 또는 가정방문을 통해 환자 발견에 힘쓴다.

② 의심되는 환자가 발견되면

의사를 찾아가 치료 받도록 권고한다.

③ 임신 중 매독에 감염되지 않도록 교육한다.

④ 임신 중 매독에 감염된 것이 확실하면

임신 중기 이후에 치료받도록 지도한다.

⑤ 임질 감염 시 신생아 안염을

유발할 수 있음을 교육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④ 임신 중 매독에 감염된 것이 확실하면

임신 중기 이후에 치료받도록 지도한다.

-> 매독의 경우는 초기에 혈액검사를 통해

사전 진단으로 하고 치료를 해야해요~

 

 

* 매독 진단검사 - VDRL & 바서만테스트*

 


 

 

 

 

 

238. 성병의 관리 및 예방법으로

옳지 않은 것은?

 

① 보건교육의 강화

② 건전한 성생활

③ 지속적인 치료

④ 발견 즉시 격리

⑤ 전파의 위험이 높은 집단의 관리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④ 발견 즉시 격리

 
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39. 성기나 회음부의 통증성 궤양 질환인 무른궤양(연성하감)에 대한

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 

① 성병의 일종이다.

② 국소적 림프 결절, 부종, 통증,

궤양이 특징이다.

③ 두크레이균이 원인균이다.

④ 직접적인 성교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.

⑤ 자연면역이 가능한 질환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⑤ 자연면역이 가능한 질환이다.

 

 

연성하감 (무른궤양)

 

법정 감염병 4급, STD (성병)

헤모필루스 두크레이균

: 성기나 회음부의 통증성 궤양

 


 

 

 

 

 

 

240. 무른궤양(연성하감)에 대한

설명으로 옳은 것은?

 

① 감염병으로 분류되지 않는다.

② 서혜부 림프절, 부종, 동통,

궤양이 특징이다.

③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균이 원인균이다.

④ 수혈에 의해 감염된다.

⑤ 자연면역 질환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답:② 서혜부 림프절, 부종, 동통,

궤양이 특징이다.

 

 

① 감염병으로 분류되지 않는다.

 

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균이 원인균이다.

-> 클라미디아 감염증:

법정감염병 4급, STD(성병)

 

수혈에 의해 감염된다.

-> 성접촉, 분만 중 산도를 통해 신생아 감염..

 

자연면역 질환이다.

-> 성병은 자연면역 되지 않아요~
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