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모자보건 >>
모자보건 사업 대상

" 모 " 사업대상
↓
임산부
:임신 중이거나 분만 후 6개월 미만
임신, 출산, 산욕
+ 모유수유(6개월)
모성
임산부 + 임신가능기 (가임기)
가임기 - 15 ~ 49세
" 자 " 사업대상
↓
미숙아
신체 발육이 미숙한 채로
출생한 영유아
선천성 이상아
선천성 기형, 변형, 염색체
이상이 있는 영유아
신생아
출생 후 28일 (1달)이내
영유아
출생 후 6년 미만인 사람
▼▽▼
22. 「모자보건법」상
모자보건 대상의 범위에
속하지 않는 것은?
① 한 살 남아
② 분만 100일 된 여성
③ 임산부
④ 30대 직장여성
⑤ 10세 여아
답:⑤ 10세 여아
----------------
23. 「모자보건법」상
모자보건의 사업 대상으로
옳지 않은 것은?
① 신생아
② 영유아
③ 임산부
④ 미숙아
⑤ 학령기 아동
답:⑤ 학령기 아동
: 학교 다니면
안돼죠^^
----------------
24. 「모자보건법」상
모자 보건 사업
대상자의 정의로
옳은 것은?
① 선천성이상아란
신체의 발육이 미숙한 채로
출생한 영유아를 말한다.
② 임산부란 임신 중이거나
분만 후 8개월 미만인 여성을 말한다.
③ 영유아란 출생 후
8년 미만인 사람을 말한다.
④ 미숙아란 선천성 기형이
있는 영유아를 말한다.
⑤ 신생아란 출생 후
28일 이내의 영유아를 말한다.
▼
① 선천성이상아란
신체의 발육이 미숙한 채로
출생한 영유아를 말한다.
-> 미숙아에 대한 설명이죠~
② 임산부란 임신 중이거나
분만 후 8개월 미만인 여성을 말한다.
-> 분만 후 6개월
(모유수유 기간)까지 이죠~
③ 영유아란 출생 후
8년 미만인 사람을 말한다.
-> 6년 미만 = 모자보건에서의 영유아
④ 미숙아란 선천성 기형이
있는 영유아를 말한다.
-> 선천성 이상아에 대한 설명
답: ⑤ 신생아란 출생 후
28일 이내의 영유아를 말한다.
----------------
25. 「모자보건법」상
모자보건사업의 대상자와
그 정의로 옳은 것은?
① 선천성 이상아
- 선천성 기형이나 변형,
염색체 이상이 있는
출생 후 10년 된 아동
② 모성
- 임산부 및 가임기 여성
③ 신생아
- 출생 후 35일 된 영아
④ 영유아
- 출생 후 7년 된 아동
⑤ 임산부 - 임신 중이거나
분만 후 7개월 된 여성
▼
① 선천성 이상아
- 선천성 기형이나 변형,
염색체 이상이 있는
출생 후 10년 된 아동
-> 6년 이내
답: ② 모성 - 임산부
및 가임기 여성

③ 신생아
- 출생 후 35일 된 영아
-> 28일 (1달) 이내
④ 영유아
- 출생 후 7년 된 아동
-> 6년 미만
⑤ 임산부 - 임신 중이거나
분만 후 7개월 된 여성
-> 분만 후 6개월까지
----------------
26. 「모자보건법」에 의한
모자보건 사업의 대상자로
옳은 것은?
① 0-14세의 모성,
6세 미만 아동
② 15-49세의 모성,
6세 미만의 영유아
③ 15-45세의 모성,
7세 미만의 영유아
④ 19-45세의 모성,
7세 미만의 영유아
⑤ 19-49세의 모성,
7세 미만의 영유아
▼
① 0-14세의 모성,
6세 미만 아동
답: ② 15-49세의 모성,
6세 미만의 영유아
③ 15-45세의 모성,
7세 미만의 영유아
④ 19-45세의 모성,
7세 미만의 영유아
⑤ 19-49세의 모성,
7세 미만의 영유아
----------------
27. 「모자보건법」상
임산부의 정의로
옳은 것은?
① 임신 중이거나
분만 후 6개월 미만인 여성
② 임신 전부터
분만 전까지의 여성
③ 임신 전부터
수유기까지의 여성
④ 35-49세 여성
⑤ 15-34세 여성
답:① 임신 중이거나
분만 후 6개월 미만인 여성
----------------
28. 「모자보건법」상
영유아 보건의 사업 대상에
해당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?
① 6세 미만의 아동
② 6세의 이상의 남자 아동
③ 초등학교 2학년 여학생
④ 7세의 유치원 아동
⑤ 8세의 여자 아동
답:① 6세 미만의 아동
----------------
29. 「모자보건법」상
영유아 보건사업의 대상으로
옳은 것은?
① 독감 예방접종을 받은
초등학교 2학년
② 뇌수막염 접종을
받으러 온 7세 아이
③ 3차 DTaP 접종을 받은
6개월의 아기
④ 뇌염 예방접종 중인
8세의 초등학교 1학년
⑤ DTaP 추가접종을
받은 7세 아이
답:③ 3차 DTaP 접종을
받은 6개월의 아기

----------------
'(간조사) 교과 이론 요약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중보건 - 인구출산 >> 인구문제 및 정책과 방향 (0) | 2025.03.26 |
---|---|
공중보건 - 인구출산 >> 자연적 피임법 : 기초체온, 월경주기, 점액관찰법 / 문풀 (0) | 2025.03.25 |
공중보건 - 학교보건 >> 학교보건 총정리 문제풀이 (0) | 2025.03.25 |
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리케치아 (발진열, 발진티푸스, 쓰쓰가무시병) 총정리 (0) | 2025.03.25 |
·공중보건 - 질병관리 >> 질병의 3요소 (병원체, 숙주, 환경) 이론+문풀 (0) | 2025.03.25 |